Daily IT 현황

[4월1일]에이전틱AI가 뭐길래, 바이브코딩 오나, 리뉴드폰, AWS도 CSAP '하' 인증

최멘토 PE 2025. 4. 1. 19:10
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

2025년  4월 1일(수) 주요 IT 뉴스

생성형AI의 진화…`에이전틱AI`가 뭐길래[팽동현의 테크픽]

에이전트AI, 에이전틱AI

최근 들어 인공지능 관련해 '에이전틱AI(Agentic AI)'라는 말이 자주 등장한다. 소프트웨어(SW) 기업들은 물론 여러 산업분야에서도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AI기업들이 너도나도 내놓는다는 'AI에이전트(AI agent)'와도 혼용되는 모양새다.

 

에이전틱 AI

개념 및 정의

  • 에이전틱 AI는 사용자의 명령을 넘어서 자율적으로 목표를 이해하고 계획·수행하는 AI
  • 기존 AI에이전트보다 진보된 개념으로, 외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독립적 판단과 행동 수행
  • 기술 흐름인 '에이전틱 AI'와 이를 구현하는 도구인 'AI 에이전트'로 구분되는 추세

 

기술적 특징

  • 단순 RPA·챗봇보다 높은 지능성·적응성·결정 능력 보유
  • 기업 시스템·인터넷 등과 연결돼 실시간 정보 반영

 

시장 동향 및 전망

  • 생성형 AI 이후 차세대 기술 흐름으로 주목
  • 가트너, 2025년 10대 전략 기술 중 하나로 선정
  • 2028년까지 일상적 업무 15%를 자율 수행,
  • 2029년까지 고객서비스 80% 처리, 비용 30% 절감 예상

 

보안 우려

  • 딥페이크·계정 탈취 등 사회공학 공격 자동화 위험
  • 2027년까지 ATO 시간 50% 단축 가능성 언급

 

타이핑 없이 느낌으로 코딩하는 시대…'바이브코딩'오나

 

 

AI가 대신 코딩하는 형태의 개발 문화가 자리잡을 것이란 예상이다.

 

대표적으로 최근 전 테슬라 AI 디렉터이자 오픈AI 공동 창립자인 안드레 카파시(Andrej Karpathy)는 '바이브코딩(Vibe Coding)'이라는 개념을 SNS를 통해 제시했다.

 

AI 기반 ‘바이브코딩’, 개발 패러다임 변화 예고

바이브코딩 개념

  • 오픈AI 공동 창립자 안드레 카파시가 제안
  • 키보드 없이 자연어·음성으로 코딩하는 새로운 개발 방식
  • 커서 컴포저, 슈퍼위스퍼 등 AI 도구 활용해 대부분 작업 수행

 

실리콘밸리 반응과 확산

  • 와이컴비네이터 “스타트업 중 25%가 코드 95%를 AI에 의존”
  • 비개발자도 빠르게 앱·기능 구현 가능 → 스타트업 경쟁력 강화
  • 프로덕트 매니저, 디자이너 등 비개발 직군도 AI 도구 도입 증가

 

개발자 역할 변화

  • 코딩 능력보다 AI 활용 능력, 설계력, 기술 통합 역량이 중요
  • 생산성·접근성 장점 vs 코드 품질·보안 우려 공존

 

한계 및 우려

  • 정교한 인프라·실시간 시스템 개발엔 미흡
  • AI 생성 코드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검토 필요
  • 장기 유지보수, 버그 해결 시 한계 존재

 

미래 전망

  • 구글·MS·아마존 등 LLM 기반 개발 도구 잇달아 출시
  • ‘코드를 느끼는 시대’로의 전환 가능성 제기
  • 실험과 실전의 경계에서 빠르게 새로운 개발 문화로 정착 중

 

[ICT 시사용어] 리뉴드폰(Re-Newed Phone)

리뉴드폰(Re-Newed Phone)은 휴대폰 제조사가 반품된 정상 제품, 초기 불량품, 전시품, 중고 제품을 재정비해 정상가보다 저렴하게 판매하는 휴대폰이다. 흔히 '리퍼폰'(Refurbished Phone)으로 불린다.

 

리뉴드폰

개념

  • 리뉴드폰(Re-Newed Phone): 반품·불량·전시·중고폰을 제조사가 재정비해 판매하는 제품
  • 일명 리퍼폰(Refurbished Phone)으로도 불림

 

장점

  • 새 제품과 동일한 품질·보증 제공
  • 가격은 30~50% 저렴
  • 전자 폐기물 저감, 자원 재활용 효과

 

제조사·시장 동향

  • 삼성전자: 미국·영국·프랑스에 이어 국내에도 인증 중고폰 판매 개시 (갤럭시S24)
  • 애플: 아이폰, 맥북, 아이패드 등 리퍼 제품 판매

 

외산 CSP 공습 본격화…구글·MS 이어 AWS도 CSAP '하' 등급 획득

AWS는 구글클라우드, 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제(CSAP) 하 등급(다 그룹용) 인증을 획득했다고 1일 밝혔다. 글로벌 클라우드 빅3가 모두 한국 공공 시장에 진출하게 됐다.

 

AWS, 국내 공공시장 진출

인증 획득

  • AWS,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제(CSAP) 하 등급(다 그룹용) 획득
  • 구글·MS에 이어 글로벌 클라우드 빅3 모두 한국 공공시장 진출 완료

 

CSAP 인증 목적

  • 정부·공공기관에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증

심사 내용

  • KISA가 AWS 서울 리전의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보안 등 평가

 

AWS 서비스 특징

  • 컴퓨팅, 스토리지, DB, AI/ML, IoT, 보안 등 광범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 24시간 모니터링, 다중 장애 격리, 300개 이상 보안·컴플라이언스 서비스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