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
2025년 3월 31일(월) 주요 IT 뉴스
"테슬라, 옵티머스 상용화 가속화"...로봇, 산업환경 바꿀까
미국 경제매거진 아이엔씨매거진은 옵티머스과 같은 휴머노이드 로봇이 향후 제조업을 어떻게 재편할 지를 조망하는 기사를 최근 보도했다.
테슬라 '옵티머스' 로봇, 제조업 혁신 중심 부상
개요
-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가 美 국회 행사에 등장하며 주목
- AI·로봇 중심 사업 전략 본격화, 제조업 재편 신호
테슬라 전략
- 일론 머스크, 옵티머스를 미래 핵심 사업으로 지목
- 2024년 최대 1만대 생산 목표
- 초기엔 테슬라 공장에 투입, 이후 외부 거래 확대 계획
적용 분야 확장
- 제조업 외 농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 활용 전망
- 미국 의원들, 자국 로봇 산업 강화를 위한 정책 지원 요청
일자리 논란
- 로봇 상용화로 인간 근로자 일자리 위협 우려
- 반면, 로봇 개발·정비 등 새로운 일자리 창출 가능성도 제시
美 빅테크, '피지컬 AI' 가동…세상 이해하는 AI 만든다
미국 빅테크가 현실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피지컬 인공지능(AI)' 가동을 본격화했다. AI가 현실에서 하드웨어(HW) 제어하는 수준을 넘어 세상 형태와 움직임을 이해·추론하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진화하기 시작했다.
피지컬 AI, 로보틱스를 넘어 현실 세계로 확장
개념 및 확산
- 피지컬 AI는 AI가 현실 세계와 상호작용하며 인식·추론·행동하는 지능형 시스템
- 자율주행, 제조, 에너지, 의료, 스마트홈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
- 로보틱스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으로 부상
엔비디아 전략
- '옴니버스' 생태계 중심으로 피지컬 인공지능 기술 전개
- 제조·물류·전력·콘텐츠 등 물리 환경을 인공지능이 이해하고 시뮬레이션
- 현대차, 폭스콘, SAP, 지멘스 등과 협업 중
구글 전략
- 제미나이 기반 '제미나이 로보틱스'·'로보틱스-EX'로 피지컬 인공지능 구현
- 멀티모달 이해와 고차원 추론으로 실시간 환경 대응
- 장기적으로 물리 세계 전반으로 확대 목표
양사 협력 확대
- 엔비디아·구글, GTC 2025서 파트너십 강화 발표
- 알파벳 산하 인트린직, 옴니버스 기반 로봇 기술 개발
- 구글클라우드, 엔비디아 GPU 최우선 도입해 산업별 인공지능 워크로드 대응
[이슈플러스]끝내 고정밀지도 반출하겠다는 구글, 허가 신청서 보니

‘측량성과 지도반출 협의체’ 가동…구글 고정밀지도 반출 쟁점
구글 측 입장
- 고정밀(1:5,000 축척) 국가기본도 해외 반출 요청
- 관광 편의성 및 산업 기여 강조 (74개 언어 지원, 글로벌 예약 서비스 연계 등)
- 보안 우려 대응 위해 블러 처리·핫라인 구축 제안
- 내비게이션 기능 위해 해외 서버 필요 주장, 국내 서버 설치는 거부
정부·국내 업계 우려
- 구글은 국내에 내비게이션 서버 미설치…이미 제공 중인 1:25,000 지도도 활용 제한
- 정밀 지도 반출 시 안보 우려 및 해외 요청 릴레이(中·러 등) 우려
- 국내 서비스(Naver 지도·Papago) 이용률이 높아 관광 기여 근거 부족
- 고정밀지도는 자율주행·디지털트윈 등 첨단 산업과 직결 → 전략 자산으로 인식 필요
핵심 쟁점
- 구글의 지도 반출 필요성 vs 안보·산업 보호
- 관광산업 기여 근거 불충분
- 미국 외 중국 등 국가의 후속 반출 요구 가능성
AI-RAN 데이터표준·테스트기술 제정작업 시작…상용화 속도
인공지능 무선접속망(AI-RAN) 기술이 본격적인 진화를 앞두고 있다. 글로벌 협력체 인공지능 RAN 얼라이언스는 데이터와 테스팅 분야 이니셔티브를 결성해 AI-RAN 상용화 속도를 높이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네트워크에 인공지능이가 접목되는 다양한 실증 기술을 선보이며 진화를 이끈다는 목표다.
AI-RAN 얼라이언스, 상용화 본격화
진행 현황
- AI-RAN 얼라이언스, ‘데이터 for AI’, ‘테스트 방법론’ 이니셔티브 발족
- 데이터 수집·활용 구조 정립 및 실용적 테스트 체계 마련
- 기술의 상용화 가속 목적
기존 구성
- 3개 워킹그룹 운영 중:
- AI for RAN (통신 최적화)
- AI and RAN (인공지능·무선망 융합)
- AI on RAN (인공지능 기반 신규 서비스 발굴)
백서 발간
- 비전과 미션 백서 통해 얼라이언스 방향성 제시
- 표준화보다 실질적 기술 협업·개발에 초점
주요 참여 기업 및 활동
- 엔비디아·삼성전자: 인공지능 기반 주파수 효율화 기술 시연(MWC25)
- 글로벌 75개 이상 회원사 참여
- 데이터, 코드, 알고리즘 공유를 통한 무선통신 혁신 촉진
"스미싱 다단계 막아라…QR코드 가짜인가 보세요"
KISA ‘큐싱 확인 서비스’ 도입
도입 배경
- QR코드를 악용한 스미싱(큐싱) 수법 확산 우려
- 가짜 앱 설치 유도 후 지인에게 QR코드 공유하게 만드는 방식
서비스 내용
-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에서 ‘큐싱 확인 서비스’ 이용 가능
- 보호나라 채널 추가 → ‘큐싱’ 선택 → QR 스캔 → 정상 여부 확인
- KISA, 악성 QR 발견 시 경찰청과 연계해 차단
추가 대응
- ‘악성 문자 엑스레이’ 도입 예정
- 대량 발송 문자 내 URL 선검사 → 악성이면 전송 차단
KISA 스미싱 예방법
- 메시지 내 URL 클릭 금지
- 공식 앱스토어에서 직접 검색해 앱 설치
- 전화로 앱 설치 유도 시 무조건 확인!, 즉시 종료
- 스마트폰 앱 자주 업데이트
- 모바일 백신 필수 설치
- SNS에서 모르는 사람 친구 추가 금지, 메시지 주고받을 때 신중하게 대응
'Daily IT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2일]GPUaaS 시장 확대,AI 기본법 시행 전 의견수렴, 아이온큐의 양자컴퓨터 출시 (0) | 2025.04.02 |
---|---|
[4월1일]에이전틱AI가 뭐길래, 바이브코딩 오나, 리뉴드폰, AWS도 CSAP '하' 인증 (0) | 2025.04.01 |
[3월28일]공공의 민간 클라우드 도입, AI 영상 산불감시카메라시스템, 제4 인터넷전문은행 방향? (0) | 2025.03.28 |
[3월27일]무선충전기 제도개선, 양자컴퓨터 위험완화 전략, 모델컨텍스트 프로토콜(MCP) (0) | 2025.03.28 |
[3월25일]구글 양자컴 5년 내 활용, 지능정보화법 개정(키오스크), AI+인증 소개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