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
2025년 2월 26일(수) 주요 IT 뉴스
챗GPT에 인간 성격 파악하는 '로르샤흐' 테스트 실시했더니

잉크 얼룩으로 사람의 상상력과 성격 등을 알아내는 '로르샤흐' 테스트를 챗GPT에 적용했다는 사례가 등장했다. 그러나, 챗GPT가 내놓은 답은 정확하게 '학습한 대로'였으며 인간의 마음과는 거리가 멀었다.
로르샤흐 테스트(Rorschach Test)란?
로르샤흐 테스트는 스위스 정신과 Doctor 헤르만 로르샤흐(Hermann Rorschach) 가 1921년 개발한 투사적 심리 검사로, 잉크 얼룩(무의미한 대칭적 이미지)을 보고 피검자가 자유롭게 연상하는 내용을 분석하여 성격, 정서 상태, 무의식적 사고 패턴을 평가하는 검사
챗GPT와 로르샤흐 테스트 실험 결과
1. 실험 개요
- BBC, 챗GPT에 로르샤흐 테스트(잉크 얼룩 심리검사) 적용.
- 인공지능이 인간처럼 감정과 무의식을 반영할 수 있는지 검증.
2. 챗GPT의 반응
- 테스트의 개념을 설명하는 일반적인 정답 출력.
- “날개를 펼친 개체, 박쥐나 나방과 비슷하다” 등 학습 Data 기반 해석.
- 새로고침 시 다른 해석 출력 → 인간과 달리 일관된 감정·경험 부족.
3. 인공지능과 인간의 차이
✅ 훈련 데이터 영향: 학습한 데이터에 따라 답변이 달라짐.
✅ 감정·경험 부재: 인간처럼 개인적 경험을 투사하지 않음.
✅ 패턴 인식 능력: 패턴을 분석할 뿐, 이미지의 상징적 의미 해석 불가.
✅ 무작위성 존재: 인간은 감정·기억이 반영되지만 Data 기반 확률적 답변.
4. 전문가 분석
- 인공지능은 감정을 경험하지 않지만, 감정을 설명할 수 있음.
- 인간처럼 내부 딜레마를 겪지 않으며, 명확한 논리로 작동.
- 훈련 Data에 따라 반응이 바뀌므로, 인간 심리와 직접 비교 불가능
출처: AI Times,'챗GPT에 인간 성격 파악하는 '로르샤흐' 테스트 실시했더니'
과기정통부 '데이터 품질인증 가이드라인' 발간
데이터 품질인증 가이드라인 발간
📌 목적
- 데이터 품질인증 제도 이해도 제고 및 기업의 인증 준비 지원
- 고품질 데이터 생산·유통 활성화 및 AI 서비스 경쟁력 강화
📌 데이터 품질인증 제도 개요
- 근거 법령: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 제20조(2022년 4월 시행)
- 심사 대상:
- 데이터 내용(텍스트, 이미지 등) 품질
- 데이터 관리체계 품질 수준
- 품질인증기관(3곳): 와이즈스톤, 씨에이에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 가이드라인 주요 내용
- 총 3권 구성
- 품질인증 절차 및 효과
- 인증 대상별 심사 기준 및 절차
- 추가 자료 제공
- 품질인증 우수 사례
- 오류 사례
- 자주 묻는 질문(FAQ)
📌 정부 지원 계획
- 데이터 거래 시 품질 도구로 인증 제도 활용
- 품질 인증 실무 교육 프로그램 제공
- AI 서비스 품질 및 신뢰성 제고
"AI기본법 시행 전 `고영향AI` 기준 명확히 해야"
내년 1월 인공지능 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법에 포함된 '고영향 AI'의 기준과 개념을 명확히 해 과도한 규제로 작용하지 않게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AI기본법 시행 앞두고 '고영향 AI' 기준 명확화 필요
📌 핵심 내용
- 2026년 1월 AI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고영향 AI' 개념과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는 지적
- AI 규제보다는 투자·진흥에 초점을 맞춰 산업 주도권 확보 필요
- 국가AI위원회, 산업계 의견 수렴 후 하위법령 신속 마련 예정
📌 AI 투자 경쟁 가속화
- 미국: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720조원 투자
- 중국: 국가전략으로 관리, 정부 주도 투자 확대
- 유럽연합(EU): 약 300조원 투자 계획 발표
- 일본: '미래창조인재제도' 도입, 해외 인재 적극 유치
📌 산업계 주요 제언
- 투명성 확산 및 오픈소스 생태계 강화
- 데이터 확보·저작권 분쟁 해결 위한 정책 지원 필요
- 기업 지원 위한 법·제도 개선 필요
- '고영향 AI'의 범위·사업자 책무 명확화 필요
- 국가 차원의 데이터 허브 구축, 비정형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 완화 필요 (정진우 트웰브랩스 공동창업자)
- '피지컬 AI', '멀티모달 AI' 등 차세대 AI 기술 지원 정책 마련해야
'Daily IT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28일]생성형AI 이용자 보호가이드라인, AWS의 양자칩 오셀롯, 로봇청소기의 공격 (1) | 2025.02.28 |
---|---|
[2월27일]아마존 LLM 알렉사+ 공개, 양자시대 위협 대비, SQL인젝션 공격 과징금 (0) | 2025.02.27 |
[2월25일]양자칩 등장의 의미, 엔비디아 GTC, 구글 한국 지도 반출 요청 이슈! (0) | 2025.02.25 |
[2월24일]MS 요리하는 AI공개, AI학습데이터저작권 해결 시급,북한 암호화폐 2조탈취 (0) | 2025.02.24 |
[2월22일]생성형AI의 4가지 위험, 소통하는 휴머노이드, EU디지털네트워크법 연내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