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
2025년 2월 25일(화) 주요 IT 뉴스
AI 시대, 양자칩의 등장은 무엇을 의미하나

마이크로소프트(MS) ‘마요라나 1’ 양자칩, AI 시대의 게임체인저로 부상
1. AI와 기존 하드웨어의 한계
-
- AI 모델이 커질수록 GPU·CPU 연산 성능 한계 및 전력 소모 증가 문제가 발생.
- 양자컴퓨팅(큐비트 기반 연산)은 기존 컴퓨터가 해결하기 어려운 복잡한 계산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잠재력 보유.
2. MS ‘마요라나 1’ 발표 → 실용적 양자컴퓨터 가능성 증명
-
- 기존 양자컴퓨터는 실험적 수준에 머물렀으나, MS ‘마요라나 1’ 칩은 실용화 가능성을 높인 첫 사례.
- 토폴로지 기반 설계로 양자 에러율을 낮추고 상업적 활용 가능성을 입증.
3. AI와 양자컴퓨팅의 결합 효과
① 초거대 AI 모델 학습 가속화 → 양자칩이 특정 연산을 분담하여 학습 속도를 단축하고 AI 모델 크기 확장 가능.
② 범용 최적화 문제 해결 → 기존 컴퓨터보다 빠르게 복잡한 연산 수행하여 AI 최적화 능력 향상.
③ AI 기반 실시간 에러 보정 → AI가 양자칩의 노이즈 및 에러를 자동 보정해 양자컴퓨터의 안정성 강화.
4. MS, DARPA 협력 → 양자컴퓨팅 상용화 속도 가속
-
- MS는 미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평가 프로그램 최종 단계 진출 → 국가 전략적·상업적 가치 입증.
- 양자칩 상용화를 위한 대규모 투자 및 연구개발(R&D) 가속화 전망.
5. 양자컴퓨팅의 난제와 해결 과제
-
- 고가의 냉각·제어 설비 필요, 대규모 칩 제조 시 노이즈 발생 가능성.
- 윤리적·보안 문제, 일부 기업·기관에 기술 편중 우려 존재.
구글 지도 반출' 韓-美 통상이슈 확산 조짐
구글이 우리 정부에 '고정밀지도 해외 반출'을 9년만에 재신청하면서 지리정보가 한미 통상 이슈로 부상할 조짐이다. 정부는 그동안 국가안보를 이유로 반출을 불허해 왔지만, 최근 한미 통상 환경이 급변하면서 안보논리가 통할 지 미지수다.
구글, 9년 만에 ‘고정밀 지도 해외 반출’ 재신청…정부, 6월 최종 결정
1. 구글의 신청 내용 및 배경
-
- 구글, 1:5000 전국 고정밀 지도 데이터 반출 허가 요청 (지난 18일 국토지리정보원에 신청).
- 과거 3차례(2007~2015년) 신청했으나 보안 이유로 불허.
- 2016년에도 신청했지만, 정부의 대안을 거부해 최종 불허됨.
2. 정부 검토 및 심사 일정
-
- 국토지리정보원이 관련 부서 및 관계기관 의견 조회 후 보안심사위원회 개최 예정.
- 4월 말까지 심의 결과 통보, 필요 시 6월 말까지 연장 가능.
- 국가안보·산업 영향 고려해 신중한 결정 필요.
3. 한미 통상 환경 변화가 변수
-
- 트럼프 2기 출범 후 한미 통상 관계 변화 가능성.
- 미국, 지리정보·망사용료 등을 비관세장벽으로 활용 가능 → 정부의 부담 증가.
4. 국내 산업 및 보안 우려
-
- 정부: 보안시설 위치 데이터 해외 전송 불가, 국내 서버 설치 필요.
- 구글: 국내에서 보안 처리 후 해외 데이터센터로 전송 주장 → 정부와 입장 차이.
- 지도 반출 시 티맵·네이버와 같은 국내 내비게이션 서비스 위협.
- 자율주행·디지털 트윈 등 첨단산업에서 구글의 시장 지배력 확대 가능성.
- 중소기업 중심의 국내 공간정보 산업 위축 우려.
5. 신중한 접근 필요
-
- 국내 산업 영향 및 보완 대책 검토 후 최종 결정 필요.
- 구글이 국내 투자 없이 지도 데이터만 반출하려는 전략이라는 비판도 제기.
- 정부, 산업 보호와 국제 통상 관계 균형 유지해야 하는 상황.
[ICT시사용어] GTC
엔비디아 GTC(GPU Technology Conference) 개요 및 주요 내용
1. GTC 개요
-
- 엔비디아가 매년 3월 개최하는 세계 최대 AI 콘퍼런스.
- 2002년 NDC(NVIDIA Developer Conference)로 시작 → 2008년 '엔비전(NVISION)' → 2009년 GTC로 명칭 변경.
- AI, GPU, 딥러닝, 데이터, 자율주행, 로보틱스 등 첨단 기술 분야 소개.
- 젠슨 황 CEO 기조연설이 주요 하이라이트.
2. 2025년 GTC 주요 발표 예상 내용
✅ 신규 AI 반도체 플랫폼 '루빈(Rubin)' 공개 전망
-
- 블랙웰(B100) 후속 아키텍처로 내년 출시 예상.
- 아직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되지 않음.
✅ 양자컴퓨팅 기술 세션 진행
-
- 젠슨 황 CEO 직접 참여.
- 리게티, 아이온큐, 퀀티눔 등 대표 양자컴퓨팅 기업과 협업 논의.
✅ AI 에이전트(AI Agent) 토론
-
-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주요 기업 임원 참석.
- AI 에이전트 발전 방향 및 산업 영향 논의.
✅ 900개 이상 기술 세션 및 300개 이상 전시 진행
-
- AI 및 GPU 기반 최신 기술 트렌드 공유.
'Daily IT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27일]아마존 LLM 알렉사+ 공개, 양자시대 위협 대비, SQL인젝션 공격 과징금 (0) | 2025.02.27 |
---|---|
[2월26일]챗GPT는 어떤 인간 성격?, DQ인증가이드라인, 고영향AI 기준 명확히! (0) | 2025.02.26 |
[2월24일]MS 요리하는 AI공개, AI학습데이터저작권 해결 시급,북한 암호화폐 2조탈취 (0) | 2025.02.24 |
[2월22일]생성형AI의 4가지 위험, 소통하는 휴머노이드, EU디지털네트워크법 연내 (0) | 2025.02.23 |
[2월21일]디지털 치료제로 자폐증 치료, MS양자칩 마요라나1, 코드서명 인증서 탈취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