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IT 현황

[2월28일]생성형AI 이용자 보호가이드라인, AWS의 양자칩 오셀롯, 로봇청소기의 공격

최멘토 PE 2025. 2. 28. 18:41
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

2025년  2월 28(금) 주요 IT 뉴스

방통위, 생성형 AI 이용자 보호 가이드라인 발표…내달 시행

생성형 AI 이용자 보호 가이드라인

방송통신위원회는 28일 전체회의를 열고 텍스트·오디오·이미지 등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업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담은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개발사와 서비스 제공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전반에 걸쳐 추구해야 할 4가지 원칙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6가지 실행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생성형 AI 서비스 이용자 보호 가이드라인 마련

📌 발표 기관: 방송통신위원회

📌 시행: 4월 28일

 

📌 주요 내용

4가지 원칙

  • 인간 중심 생성형 AI 서비스
  • 설명 가능성 확보
  • 안전한 작동 보장
  • 공정성 유지

 

6가지 실행 방식

  • 이용자 인격권 보호
  • AI 생성물 고지 및 설명 노력
  • 차별 예방 및 다양성 존중
  • 입력 데이터의 책임 있는 관리
  • 문제 해결 책임 강화
  • 건전한 유통 및 배포 노력

 

📌 사업자 참고용 모범 사례 제공

📌 2년마다 가이드라인 검토 및 개선

🔹 방통위: "AI 사업자의 이용자 보호 강화 기대"

 

AWS, 새로운 양자 컴퓨팅 칩 '오셀롯' 발표…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의 AWS 양자 컴퓨팅 센터 팀이 개발한 새로운 양자 컴퓨팅 칩 '오셀롯(Ocelot)'을 28일 발표했다.

 

이 칩은 기존 접근 방식 대비 양자 오류 정정 구현 비용을 최대 90%까지 줄일 수 있으며 현존 컴퓨터로는 풀 수 없는 상업적·과학적으로 중요한 문제 해결을 위한 내결함성 양자 컴퓨터 개발에 큰 진전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AWS, 양자 컴퓨팅 칩 '오셀롯(Ocelot)' 발표

📌 발표일: 3월 28일

📌 개발: AWS 양자 컴퓨팅 센터 (캘리포니아공과대학)

 

🔹 주요 특징

양자 오류 정정 비용 최대 90% 절감

내결함성 양자 컴퓨터 개발 가속화

'고양이 큐비트(cat qubit)' 활용

    • 비트 반전 오류(bit-flip error) 자체 억제
    • 기존 방식 대비 오류 정정 자원 절감

 

📌 양자 오류 정정 문제 해결

    • 기존 방식: 큐비트 대량 필요 → 비용↑
    • 오셀롯: 설계 단계부터 오류 정정 최적화

📌 반도체 공정 적용 → 확장 가능성↑

📌 기존 방식 대비 비용 20% 수준으로 절감

📌 실용적 양자 컴퓨터 등장 최대 5년 앞당길 전망

🗣 AWS: “오셀롯은 양자 컴퓨팅 실용화를 위한 중요한 이정표”

 

[IT애정남] 로봇청소기, 개인정보 보호 대처 방법을 알려주세요

초창기 로봇 청소기가 청소기에 주행 기능을 붙인 정도였다면,

오늘날 로봇청소기는 청소 역할 뿐 아니라, 사물인터넷 기능으로 집안 내 관리, CCTV 역할도 해냅니다.

문제는 집안 전체를 다닐 수 있으면서 카메라와 마이크도 달렸고, 무선인터넷과도 연결돼 자칫 심각한 개인정보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미 IP캠은 대규모 유출 사례도 있었고, 지금도 현재진행형입니다.

 

로봇청소기 개인정보 유출 우려 및 보호 방법

📌 로봇청소기의 발전과 개인정보 문제

  • 기능 확대: 진공청소, 물걸레질, 자동 먼지 비움, 사물인터넷(IoT) 및 CCTV 기능 탑재
  • 보안 우려: 카메라, 마이크, 무선인터넷 연결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 증가
  • 중국산 제품 우려 증가: 로보락, 에코벡스 등 중국 브랜드 제품의 데이터 처리 방식이 논란

 

📌 로보락 공식 입장 (2024년 2월 24일 발표)

  • 글로벌 보안 인증 취득 (TUV 라인란드, UL 솔루션즈)
  • 개인정보는 암호화 처리 및 국내 법 준수
  • 영상·오디오 정보는 서버에 저장되지 않고 기기 내 보관
  • 우려 요소: 투야(Tuya)와 개인정보 공유 가능성 (미국 정부가 개인정보 유출 우려 제기한 기업)

 

📌 사용자 개인정보 보호 방법

1️⃣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 끄기: 데이터 전송 차단

2️⃣ 카메라 덮개 활용: 자율주행 제한되지만 녹화 차단

3️⃣ 공유기 보안 강화

    • 최신 업데이트 유지
    • 이중 잠금 및 비밀번호 주기적 변경
    • 공유기 설정에서 로봇청소기의 데이터 사용량 확인

4️⃣ 청소 금지 구역 설정: 민감한 공간 보호

5️⃣ 주기적인 데이터 삭제 및 기록 변경

6️⃣ 루팅(펌웨어 교체) 가능하지만 권장하지 않음: 기능 고장 및 보증 수리 불가

 

출처 : IT동아, 로봇청소기, 개인정보 보호 대처 방법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