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IT 현황

[4월24일]챗GPT한테 고맙다 하지마, 딥시크에 시정권고, 디지털화폐 결제와 편의점

최멘토 PE 2025. 4. 25. 19:02
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

2025년  4월 24일(목) 주요 IT 뉴스

“제발 챗GPT한테 '고맙다'고 하지마”… 올트먼, 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엑스(X·옛 트위터)에서 “챗GPT에 사람들이 '부탁해'(please), '고마워'(Thank you) 등을 말하면서 얼마나 많은 전기 요금이 낭비됐는지 궁금하다”는 질문을 받고 “수천만 달러가 쓰였다. 정확히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알 수 없다”고 답했다.

 

핵심 내용

  • 사용자들이 챗GPT에 "please", "thank you" 등 공손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 불필요한 처리량 증가 → 전력 낭비로 이어짐

 

샘 올트먼 발언

  • 공손한 표현으로 인한 전력 소비에 대해
  • 수천만 달러의 전기 요금이 쓰였다”고 언급

 

전력 사용량 추정

  • 단일 AI 응답 생성 시 최대 0.14kWh 소모
  • → LED 전구 14개 1시간 켜는 수준
  • 데이터센터는 이미 세계 전력 소비의 2% 차지
  • → 2030년엔 **미국 전력 소비의 25%**까지 차지 가능성

 

환경 영향

  • 수도 사용량 증가도 문제
  • → LLM이 “You are welcome” 생성 시 42ml 물 소비

 

전반적 시사점

  • AI 사용이 늘수록 전력·물 낭비 문제 심화 가능성
  • 사용 습관 변화도 에너지 효율에 영향 미침

 

개인정보위, '개인정보 논란' 딥시크에 시정권고…“조만간 서비스 재개할 듯”

딥시크 시정조치

 

개인정보 유출 논란으로 국내 다운로드를 자체 중단한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개인정보 처리방침 등에서 미흡한 부분이 발견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을 받았다. 딥시크는 시정조치 후 조만간 서비스를 재개할 전망이다

 

사건 개요

  • 중국 생성형 AI 딥시크, 개인정보 보호 미흡으로 자체 다운로드 중단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사전 실태점검 결과 시정권고

 

주요 위반 사항

  • 한국어 처리방침 부재, 개인정보 보호법상 필수 고지사항 누락
  • 광범위한 개인정보 수집 명시 (키 입력 패턴 등)
  • 국외 이전(중국·미국 기업)이용자 동의·고지 누락
  • 프롬프트 입력 내용 전송·학습 사용에 대한 거부 기능 미비

 

딥시크 조치 내용

  • 한국어 처리방침 및 대한민국 관할 조항 추가
  • 불필요한 데이터 이전 차단, 프롬프트 학습 거부 기능 도입
  • 볼케이노엔진에 프롬프트 내용 신규 전송 중단
  • 정확한 수집 항목으로 방침 정비

 

개인정보위 시정권고 사항

  • 국외이전 근거 보완, 이전된 프롬프트 데이터 파기
  • 서비스 투명성 확보, 아동 정보 보호
  • 국내 대리인 지정, 보안조치 강화

 

향후 일정 및 전망

  • 딥시크, 10일 내 시정 수용 시 서비스 재개 가능성
  • 60일 내 이행 결과 보고
  • 개인정보위, 국내 대리인 통해 이행 점검 예정
  • 해외 감독기구와 협력해 국외 개인정보 보호 지속 추진

 

얼굴·디지털화폐 결제…편의점으로 몰리는 이유는

국내 편의점들이 페이스페이·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등 새로운 결제 시스템을 잇따라 도입하고 있다. 혁신적인 결제 서비스로 2030세대 고객을 확보하고 소비자 편의성을 높일 것이라는 기대감도 나오지만, 일각에서는 보안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도입 개요

  • 편의점 3사(GS25·CU·세븐일레븐), 페이스페이·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신규 결제 시스템 도입
  • 토스와 협력해 페이스페이·QR/바코드 결제 시범 운영

 

페이스페이 도입 현황

  • GS25: 팝업스토어(성수) 운영 후 전국 25개 매장 시범 도입
  • CU: 강남 지역 10여 점 → 상반기 30여 점 확대 예정
  • 세븐일레븐: 6월부터 순차 도입 계획

 

CBDC 결제 테스트

  • 세븐일레븐, 한국은행 ‘한강 프로젝트’ 테스트 매장 참여
  • 7개 은행 지갑 → QR 생성 → 포스 스캔 방식 결제
  • 무인점포 제외 전 매장에서 3개월간 실거래 테스트 중

 

소비자 유치 전략

  • 결제 고객 대상 할인 행사 운영
  • GS25: 1만원 할인 쿠폰
  • 세븐일레븐: 전 품목 10% 할인(일부 제외)

 

편의점 선택 이유

  • 결제량 많고 가맹점 수 많아 테스트에 적합
  • 2030세대 타겟 + 락인 효과 기대
  • 결제 절차 간소화 → 고객 이탈 예방 목적

 

보안 우려 및 대응

  • CBDC: 통신망 기반 → 해킹 위험 지적
  • 페이스페이: 사진·가짜 얼굴 오인 결제 우려
  • 토스 대응:
    • 개인정보위 사전적정성 검토 완료
    • 정보보호 투자 확대 (2020년 39억 → 2024년 126억)
    • 안심보상제 운영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