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IT 현황

[4월22일]전기차 충전 산업 재편, 광고 기반 주문형 비디오, 소버린 클라우드 확산

최멘토 PE 2025. 4. 23. 12:03
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

2025년  4월 16일(수) 주요 IT 뉴스

[뉴스줌인] 캐즘 직격탄 전기차 충전 시장, 산업 재편 시작

 

 

국내 전기차 충전 시장이 재편에 들어갔다. 전기차 보급 확대에 충전기, 충전서비스 산업이 성장할 것으로 보고 연이어 뛰어든 대기업들이 시황 악화에 하나둘 발을 빼면서다. 반면 일부 기업은 신규 시장 진입과 사업 확대를 도모해 시장 판도가 달라질 전망이다.

 

시장 재편 배경

  • 전기차 수요 둔화(전기차 캐즘) → 충전기 시장 성장 정체
  • 글로벌 경기 침체 및 친환경 정책 완화가 원인
  • 지속된 적자로 대기업들 중심으로 사업 철수 및 구조조정 증가

 

철수·매각 사례

  • SK브로드밴드: 홈앤서비스 충전기 1.4만기 GS차지비에 매각
  • 한화솔루션 큐셀부문: 1.6만기 플러그링크에 매각 예정
  • LG전자: 하이비차저 청산 결정, 매각 실패 후 사업 철수
  • SK일렉링크, SK시그넷, 휴맥스이브이, 이브이시스 등도 적자 중, 구조조정 거론

 

시장 잔류 및 확장 움직임

  • 대성산업: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사업 진출, GS칼텍스 유통망과 시너지 기대
  • LG유플러스: LG헬로비전 충전사업 이관, 카카오모빌리티와 합작사 ‘볼트업’ 설립

 

업계 전망

  • 수익성 확보 위해 M&A 통한 규모의 경제 필요
  • 일부 기업은 시장 철수, 일부는 진출·확대 전략 병행
  • 시장은 단계적으로 재편·통합되는 양상

 

 

[ICT 시사용어] 광고 기반 주문형 비디오(AVOD)

AVOD FAST 비교

광고 기반 주문형 비디오(AVOD, 광고형 요금제)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시청하기 전이나 도중에 광고를 보는 조건으로 저렴한 요금 또는 무료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모델이다. 기존의 구독형(SVOD) 모델과 달리, AVOD는 광고 수익을 기반으로 플랫폼 수익성을 확보하면서도 이용자에게 경제적인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광고 기반 주문형 비디오(AVOD, 광고형 요금제) 개요

  • 광고 기반 스트리밍 모델
    • 이용자는 콘텐츠 시청 전·중 광고 시청 → 무료 또는 저렴한 요금 이용 가능
    • 광고 수익 기반 수익 구조, SVOD(유료 구독형)과 차별화

 

글로벌 동향

  • 넷플릭스, 2022년 11월 한국 등 12개국에 광고형 요금제 도입
  • 성장 정체 대응 + 광고 수익 확보 전략

 

국내 동향

  • 티빙, 2023년 3월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 국내 첫 도입

 

시장 전망

  • 옴디아: 2025년 글로벌 AVOD 시장 2600억 달러(약 349조 원) 예상
  • 미디어 산업 핵심 수익 모델로 자리매김 전망

 

소비자 반응

  • 방통위 조사: OTT 이용자의 18.2%가 광고형 요금제 사용
  • 64.5%가 지속 이용 의향 표시

 

[참고 AVOD와 FAST비교]

 

"데이터 주권 지킨다"…유럽 넘어 한국까지 확산되는 '소버린 클라우드'

해외 클라우드 기업에 의존하지 않고 국가의 데이터·인프라 자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소버린(Sovereign) 클라우드'가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기업(CSP)도 소버린 클라우드 구축에 앞장서는 가운데, 해외 사업자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형 특화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에 나서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 소버린 클라우드 개요

  • 데이터 주권 확보를 위한 클라우드 인프라
  • 자국 내 법률·규제 준수, 국가 내 데이터 저장·통제
  • 주로 공공기관 및 민감 정보 처리 영역에서 활용

 

✅ 유럽 동향

  • AWS·MS·구글 등 미국 CSP 의존 탈피 움직임
  • 자국 중심 클라우드 생태계 구축 추진
  • 클라우드 비용 증가, 미국 법적 통제 우려 → 자국 CSP 전환 가속
  • 데이터 주권·AI 경쟁력 확보 목적

 

✅ 국내 동향

  • 국내 CSP(CSAP 인증 보유)가 이미 소버린 클라우드 형태 운영 중
  • 공공→민간 시장으로 확산 중, 프라이빗+퍼블릭 인프라 장점 결합
  • 네이버클라우드:
    • 뉴로 클라우드’ 중심 소버린 AI 전략
    • LLM ‘하이퍼클로바X’의 구축형 버전 제공
    • 중동 시장 진출도 병행

 

✅ 글로벌 CSP와의 협력 사례

  • KT–MS:
    • KT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 개발 중
    • MS 애저 기반 + 보안 강화, 한국형 AI 솔루션 개발 협력
  • LG유플러스–AWS:
    • 한국형 소버린 클라우드 공동 개발
    • 공공·금융·첨단 산업 중심 AI 전환 지원 목표

 

✅ 전망 및 평가

  • AI 시대, 데이터 통제력 중요성 증대
  • 유럽·한국 모두 소버린 클라우드 주도 기업 부재경쟁 본격화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