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
2025년 2월 11일(화) 주요 IT 뉴스
[ICT 시사용어] 국가 AI컴퓨팅센터
국가 AI컴퓨팅센터는 인공지능(AI) 연구개발(R&D)과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초고성능 AI 인프라 구축 사업이다. AI 모델 학습과 대규모 데이터 연산을 처리할 수 있는 슈퍼컴퓨팅 환경을 제공한다. 국내 기업 및 연구기관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국가 AI컴퓨팅센터 개요 및 추진 현황
1. 개요 및 목적
- 정의: AI 연구개발(R&D) 및 산업 활성화를 지원하는 초고성능 AI 인프라 구축 사업
- 핵심 목표: 국내 기업 및 연구기관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슈퍼컴퓨팅 환경 제공
2. 추진 배경 및 목표
- 디지털 경쟁력 강화: 글로벌 AI 기술 경쟁력 확보
- 서비스 개시 목표: 2025년 11월 조기 운영 추진
- GPU 클러스터 기반 구축: 대규모 AI 모델 학습 및 데이터 연산 지원
3. 공공·민간 협력 및 AI 인프라 확충
- AI 반도체 기술 개발 병행
- 국내 IT 기업 및 데이터센터 운영업체 참여 검토
- 대형 클라우드 기업의 AI 인프라 투자 확대
4. AI 인프라 활용 기대 효과
- 고성능 컴퓨팅(HPC) 및 GPUaaS(GPU as a Service) 활용 가능
- 스타트업 및 연구기관의 AI 학습 비용 절감 및 효율성 향상
- AI 연구 환경 고도화 및 국내 AI 기업의 혁신 성장 촉진
공공SW 사업, 품질에 문제 생기면 '차기사업 참여 제한'
정부가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일정 기간 공공 사업 참여를 제한하는 '부정당 제재'를 가하는 조항을 신설한다.
공공 SW 품질 저하 시 '부정당 제재' 적용 논란
1. 개정안 내용
- 기획재정부, '국가계약법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 예고
- SW·수리·점검 용역 품질 문제 시 공공 사업 참여 제한(부정당 제재) 적용
- 보수 필요 비율에 따른 입찰 제한 기간
- 25% 이상 → 2년
- 15~25% → 1년
- 10~15% → 8개월
- 6~10% → 3개월
2. 업계 반발 이유
- 부정당 제재는 본래 불공정 행위(담합·뇌물 등) 대상, 품질 문제 적용은 과도한 규제
- SW 품질 문제 원인 분석 없이 사업자에 일방적 책임 전가
- 이미 납기 지연에 따른 지체상금 등 기존 제재가 존재
국정원, 北 해킹조직 SW공급망 공격 주의보

1. 주요 공격 방식 및 사례
✅ IT 용역업체 공격
- 고객사 접속 권한이 있는 IT용역업체 직원 이메일 해킹 → 서버 접속 계정 탈취
- 지자체 전산망 원격관리 서버 무단 접속 시도(차단됨)
- NAS(네트워크결합스토리지) 초기 패스워드 유출 → 고객사 설계도면 절취 시도
✅ SW 취약점 악용
- 방산협력업체 그룹웨어 보안 허점 이용 → 악성코드 설치 후 내부자료 절취 시도(차단됨)
✅ 부실한 보안관리 악용
- 유추 가능한 초기 패스워드, 해킹메일 열람 등 취약점 공격
- 모바일 신분 확인업체 관리자 페이지 보안 취약점 분석 후 무단 접속 시도(차단됨)
2. 대응 방안
🔹 IT용역업체 보안 강화: 직원 보안교육, 외부 접속 차단, 인증수단 강화
🔹 SW 보안패치 및 점검: 관리자 계정 인터넷 접속 금지, 주기적 취약점 점검
🔹 보안관리 강화: 보안수칙 체크리스트 활용, 임직원 보안교육 강화
'Daily IT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6일]개인정보 4억건 다크웹에!, TSMC 플럭스리스 본딩 적용, 에이전틱 AI 시대 (0) | 2025.03.06 |
---|---|
[3월5일]인간 메모습관 배운AI(Chain of Draft),AI트래픽증가'망제값 받기' (0) | 2025.03.05 |
[2월28일]생성형AI 이용자 보호가이드라인, AWS의 양자칩 오셀롯, 로봇청소기의 공격 (1) | 2025.02.28 |
[2월27일]아마존 LLM 알렉사+ 공개, 양자시대 위협 대비, SQL인젝션 공격 과징금 (0) | 2025.02.27 |
[2월26일]챗GPT는 어떤 인간 성격?, DQ인증가이드라인, 고영향AI 기준 명확히! (0)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