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망보안체계 2

[1월23일]국가망보안체계 보안가이드라인, 은행권, 비대면 서비스 재정비,AI 생성물에 워터마크

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2025년  1월 23일(목) 주요 IT 뉴스 베일 벗은 국가망보안체계 보안가이드라인…신규 시스템부터 우선 적용국가정보원은 23일 “데이터 활용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국가 망보안체계로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국가망보안체계 보안가이드라인을 공개했다. 국가망보안체계(N²SF) 보안가이드라인 도입 배경 및 목적: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신기술 적용 및 공공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해 기존 망분리 정책 개선.보안성과 데이터 공유 활성화를 동시에 충족하는 국가망보안체계 전환 추진.국가망보안체계 개요:정보시스템과 데이터를 기밀(Classified), 민감(Sensitive), **공개(Open)**의 3등급으로 분류해 차등 보안 적용.비공개 정보..

Daily IT 현황 2025.01.24

[12월25일]한-미 AI신뢰성 기준,새해 빅테크 AI 에이전트 시대,국가망보안체계로 변경

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 2024년  12월 25일(수) 주요 IT 뉴스한-미 AI신뢰성 기준 엇비슷···"94%가 호환 가능"대표사진 삭제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과기정통부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회장 손승현)는 우리나라 ‘신뢰할 수 있는 AI개발안내서’(이하 ‘AI개발안내서’)와 美 상무부 국립표준기술연구소(이하 ‘NIST’)의 AI위험관리프레임워크(이하 ‘AI RMF’) 간 상호 교차분석(Crosswalk)을 완료했다고 24일 밝혔다.  AI 신뢰성 확보를 위한 한국-미국 교차분석 결과교차분석 개요대상: 한국 ‘AI개발안내서’와 미국 NIST ‘AI RMF’기간: 2023년 2월~12월결과:67개 세부 검증 항목 중 63개(94%)가 상호 호환성 확인‘AI개발안..

Daily IT 현황 202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