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IT 현황

[4월14일]진짜 문제 푼 양자컴퓨터, N²SF연구회 발족, 고영향AI EU고위험보다 유연

최멘토 PE 2025. 4. 14. 20:45
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

2025년  4월 15일(월) 주요 IT 뉴스

처음으로 '진짜 문제' 푼 양자컴퓨터…매듭이론 계산 성공

 

 

퀀티뉴엄(Quantinuum)이 양자컴퓨터를 활용해 위상수학 분야에서 난제로 꼽힌 매듭 이론(knot theory)을 양자 알고리즘으로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개요

  • 퀀티뉴엄, 매듭 이론의 난제인 존스 다항식을 양
  • 자 알고리즘으로 계산 성공
  • 실제 양자 하드웨어(H2-2)를 활용한 최초의 수학 문제 해결 사례

 

연구 의의

  • 이론적 알고리즘의 실제 구현
  • 단순 성능 시연이 아닌 수학·과학적으로 의미 있는 문제 해결

 

매듭 이론 및 존스 다항식

  • 매듭 이론: 3차원 공간에서의 폐곡선 엉킴 구조 분석
  • 존스 다항식: 매듭의 위상학적 특성을 구별하는 대표적 계산식
  • 계산 난이도: #P-hard, 고전 컴퓨터로는 계산 어려움

 

실험 방법 및 성과

  • 교차점 최대 600개의 매듭에 대해 양자 알고리즘 실행
  • 최대 16 큐비트, 340개의 2-큐비트 게이트 사용
  • 존스 다항식 근사값 도출 성공

 

에러 완화 기법

  • 피보나치 기반 상태 제한
  • 켤레 트릭 (Conjugate Trick)
  • 비피보나치 오류 검출

 

고전 vs 양자 알고리즘 비교

  • 양자 알고리즘(cfev), 고전 알고리즘(mpo-proj)과 성능 비교
  • 교차점 2400~3000개 이상 매듭에서 양자 우위 확보
  • 메모리·에너지·시간 측면에서 양자 방식이 효율적

 

국정원 지정' 사이버안보학회, N²SF연구회 발족…“가이드라인 고도화”

 

 

국가정보원이 획일적인 망분리 정책에서 벗어나 '국가망보안체계'(N²SF)로 전환을 추진하는 가운데 한국사이버안보학회가 N²SF연구회를 출범한다. 사이버안보학회는 국정원이 지정한 사이버안보 전문기관으로, N²SF연구회를 통해 제도 조기 안착을 위한 기술·정책적 지원을 할 것으로 보인다.

 

배경 및 개요

  • 국가정보원, 기존 망분리 정책에서 ‘국가망보안체계(N²SF)’로 전환 추진
  • 한국사이버안보학회, N²SF연구회 출범 예정 (4월 24일, 엘타워)

 

N²SF 정책 전환 배경

  • AI·클라우드 등 신기술 도입을 위한 유연한 보안체계 필요
  • 데이터 활용과 보안을 동시에 확보하려는 목표
  • 2024년 1월, 국정원 ‘N²SF 보안 가이드라인’ 초안 발표

 

사이버안보학회 역할

  • 국정원 지정 첫 사이버안보 전문기관 (2023년 8월)
  • N²SF연구회를 통해 가이드라인 고도화 및 제도 조기 정착 지원
  • TF 활동을 상설기구로 확장한 구조

 

정책 추진 방향

  • 실증 및 피드백 기반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예정
  • 기술·정책 수정 보완으로 공공기관·기업 적용성 제고

 

“고영향 AI, EU 고위험보다 유연”…AI기본법 하위법령 의견수렴 착수

고영향AI 의견수렴

인공지능(AI) 기본법에 명시된 '고영향 AI' 규제 정도가 유럽연합(EU) AI 액트에 규정된 '고위험 AI'보다 유연하게 설정될 것으로 확인됐다. 안전성 확보 의무 대상은 오픈AI '챗GPT'도 당장 적용 받지 않을 수준으로 정의될 예정이다.

개요 및 추진 배경

  • 과기정통부, AI 기본법 하위법령 정비 초안 마련 및 의견 수렴 본격화
  • 유럽연합(EU) AI 액트 대비 유연한 규제 방침 확정

 

고영향 AI 규제 방향

  • 고영향 AI: EU의 고위험 AI보다 완화된 규제 적용
  • 규제 기준:
    • 일상생활 영향 빈도·정도
    • 비일상적 활용 여부
    • 회복 불가능한 영향 여부
    • 기본권·생명·신체·이익 등에 미치는 영향

 

적용 대상 및 범위

  • 안전성 확보 의무: 누적 연산량 10의 26승 플롭스(flops) 이상 모델에 한정
  • 오픈AI 등 빅테크 기업 모델도 당장 적용 대상 아님
  • 의료·제조·채용 등 산업군은 관계부처 의견 병행 수렴

 

입법 및 행정 절차

  • 대기업(네이버, 카카오 등), 중소기업, 학계, 시민단체 등 최소 2회 이상 의견 청취
  • NIA, TTA, KISDI 등 4개 기관과 하위법령·가이드라인 정비 진행 중
  • AI 서비스 검·인증: 민간 수행, 정부 감독 체계 검토

 

일정 및 향후 계획

  • 5월 초까지 의견 수렴 후 국가AI위원회 보고
  • 5~6월 입법예고, 2025년 1월 시행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