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ily IT 현황

[2월20일]中양자컴퓨팅 오리진 우콩 충격, 99만원 아이폰16e, 오픈AI 딥리서치 공개

최멘토 PE 2025. 2. 20. 18:20
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

2025년  2월 20일(목) 주요 IT 뉴스

“이러다 아이폰 산다?” 애플 99만원짜리 ‘더 싼 AI폰’ 공개…삼성 ‘맞불’

 

 

애플이 출고가 99만원에 불과한 인공지능 스마트폰을 선보였다.

저렴한 금액에 플래그십 못지 않은 성능으로 무장했다. 글로벌 AI 스마트폰 시장 주도권을 놓고 삼성전자와 대격돌이 예상된다.

 

애플, 99만원 ‘아이폰16e’ 출시…삼성과 AI 스마트폰 경쟁 본격화

 

아이폰16e 주요 특징

  • 아이폰 SE 후속 모델로, 아이폰16과 동일한 크기(6.1인치 OLED 디스플레이)
  • 무게 167g, 아이폰16보다 3g 더 가벼움
  • 지문 인식(Touch ID) 대신 얼굴 인식(Face ID) 적용
  • A18 칩 탑재, 4800만 화소 카메라(2배 광학 줌)
  • 퀄컴 모뎀 대신 자체 개발한 C1 모뎀 첫 적용
  • USB-C 충전 포트 도입(EU 규정 준수)

 

AI 기능 및 출시 시점

  • 보급형 제품 최초로 ‘애플 인텔리전스’ 적용, 4월부터 한국어 지원
  • 출고가 599달러(국내 99만원), 아이폰16보다 200달러 저렴
  • 21일 사전 주문, 28일 정식 출시 예정

 

시장 전략 및 전망

  • 기존 SE 시리즈를 ‘e’ 시리즈로 리브랜딩, AI폰 시장 공략 강화
  • 삼성 갤럭시S25 시리즈와 글로벌 AI 스마트폰 시장에서 정면 대결 예상
  • 한국을 1차 출시국에 포함, AI폰 경쟁에서 삼성과 직접 맞불 전략

 

中양자컴퓨팅 '오리진 우콩' 충격…美 리게티·아이온큐 주가 하락

오리진 우콩

중국 양자컴퓨터 오리진 우콩(Origin Wukong)의 등장으로 리게티 컴퓨팅과 아이온큐(IONQ) 등 양자컴퓨팅 기업 주가가 동반 하락했다.

 

중국 양자컴퓨터 ‘오리진 우콩’ 공개…美 양자기업 주가 하락

오리진 우콩 공개 및 주요 성과

  • 중국 스타트업 오리진퀀텀, 72큐비트 초전도 양자컴퓨터 ‘오리진 우콩’ 공개
  • 아이온큐(64큐비트)보다 높은 성능, 1월 6일 공개 후 33만 9천 건 이상 양자 연산 수행
  • 139개국 2천만 명 이상 원격 접속해 기술 검증
  • 유체역학, 금융, 생물의학 등 다양한 산업 활용 사례 확인

 

시장 반응 및 주가 영향

  • 리게티컴퓨팅(-10.92%), 아이온큐(-9.40%), 디웨이브퀀텀(-5.18%) 동반 하락
  • 중국의 독자적 양자기술 발전이 기존 美 양자기업에 위협 요소로 작용

 

오리진퀀텀 성장 배경

  • 2017년 설립, 중국 최초의 양자 칩 생산 라인·운영체제·측정 및 제어 시스템 개발
  • 양자컴퓨팅 특허 출원 세계 6위, 중국 내 1위 기록
  • 최근 저비용 AI 모델로 시장 충격을 준 ‘딥시크’와 비교되며 글로벌 영향력 확대 가능성

 

이번엔 딥리서치 쇼크···과학 연구 논문도 8분만에 뚝딱

 

 

오픈AI ‘딥리서치’ 공개…AI 기반 연구 및 논문 작성 혁신

 

딥리서치 개요 및 주요 특징

  • 오픈AI가 출시한 AI 기반 심층 연구 도구, 월 200달러 이상 유료 사용자 대상 제공
  • 챗GPT 기반으로 고급 추론 기능 추가, 연구 논문 작성 및 보고서 생성 지원
  • 사용자가 명령어(프롬프트) 입력 → AI가 웹 검색·추론·통합하여 연구 보고서 생성
  • 출처가 명확하며 논리적으로 전개된 보고서 작성 가능, 기존 AI 모델 대비 신뢰성 향상

 

실제 활용 사례

  • 한국원자력연구원 시연 → 수시간 걸리는 연구 보고서를 8분 만에 생성
  • 전문가들, 딥리서치를 활용해 논문 작성 후 학술지 게재 성공 사례 등장
  • 유저가 업로드한 파일을 분석하고 그래프 생성 및 인용 가능

 

성능 및 벤치마크 결과

  • ‘인류의 마지막 시험(Humanity’s Last Exam)’에서 26.6% 정확도 기록
  • 챗GPT-4o(3.3%), 딥시크 R1(9.4%)보다 월등히 높은 성능
  • 100개 이상의 분야(언어학, 로켓과학, 생태학 등)에서 3000개 문제 해결

 

한계 및 향후 전망

  • 현재 유료 사용자에게 월 100개 쿼리 제한, 연구 시간 5~30분 소요
  • 웹에서 공개된 정보만 활용 가능, 비공개 연구 데이터 접근 불가
  • 향후 국제학술지와 연계해 더 전문적인 연구 지원 가능성
  • 모바일·데스크탑 앱 출시 예정, 더욱 강력한 AI 연구 도구로 발전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