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
2025년 3월 13일(목) 주요 IT 뉴스
[이슈플러스]AI 업계, 모델 최적화·경량화 가속
인공지능 업계에서 최적화와 경량화가 빨라지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저비용 고품질 인공지능 모델로 파장을 일으킨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거대 AI 모델의 최적화와 경량화 부문에서 혁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한 이후 더 가속화됐다. 스케일업 중심의 거대 모델에 대한 투자만이 아니라 실용성, 효율성에도 눈을 돌리게 한 것이다.
AI 최적화·경량화 가속화…딥시크 영향력 확대
1. AI 최적화·경량화 트렌드 확산
- 배경: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iSiC)가 고성능 AI 모델의 최적화·경량화 가능성을 입증
- 변화: 거대언어모델(LLM) 중심에서 경량화 모델(sLLM)과 최적화 기술로 관심 이동
- 이유: 비용 절감, 접근성 확대, 실시간 응답 필요 서비스에 적용 용이
2. 거대언어모델(LLM) vs 경량화 모델(sLLM)
- LLM: 수십~수천억 개 파라미터, 높은 정확도, 대규모 데이터센터 필수
- 예) GPT-4, LLaMA 3, Grok 3 → 고비용·고전력 소모
- sLLM: 파라미터 수 축소, 메모리·전력 소비 절감, 저사양 하드웨어에서도 실행 가능
- 적용 분야: 챗봇, 음성비서, IoT, 웨어러블, 자율주행 등
3. 딥시크의 혁신적 접근법
- 특징: 거대모델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최적화된 아키텍처 적용
- 기술: 전문가혼합방식(MoE) → 특정 작업에만 연산 집중, 효율 극대화
- 결과: 범용 AI 수준의 성능 + 최적화된 비용·자원 활용

5. 결론
- AI 경쟁력은 단순한 모델 크기 확장이 아닌 최적화와 효율성이 중요
- 딥시크 사례로 고성능+경량화 모델 가능성 입증 → 산업 전반에 AI 적용 확대
- AI 최적화·배포 기술 개발이 중요한 차별화 요소로 자리 잡을 전망
과기정통부, 제로 트러스트·AI·통합보안 개발에 100억원 투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제로 트러스트 도입 시범사업, 우수 AI 보안시제품·사업화 지원, 한국형 통합보안 개발 시범사업 등을 실시한다. 이들 사업 규모는 총 100억에 달한다.
정부, 정보보호 제품·서비스 개발에 100억 투자
1. 사업 개요
- 총 100억 원 규모로 제로 트러스트·AI 보안·통합보안 분야 지원
- 과기정통부 & KISA 주관
2. 주요 지원 사업
- 제로 트러스트 도입 지원 (총 51억 원)
- 6개 과제(42억 원): 인증 강화·마이크로 세그멘테이션 등 핵심 요소 적용
- 컨설팅 지원(9억 원): 제로 트러스트 도입 로드맵 구축 지원

- 한국형 통합보안 모델 개발 (총 9억 원)
- ‘K-시큐리티 얼라이언스’ → ‘팀 시큐리티 코리아’로 개편
- API 연동 지원 플랫폼 구축
- 통합보안 시범사업(3개 과제, 각 3억 원 지원)
3. 기대 효과
-
- 국내 보안기업 경쟁력 강화 및 사이버 위협 대응력 제고
- AI 보안 기술 및 통합보안 모델 확산 지원
- 보안 솔루션 수출 경쟁력 확보
데이터 주권 시대 가속…의료·통신 마이데이터 본격 시행
의료와 통신 분야에 마이데이터 제도가 시행된다. 국민(정보주체)이 자신의 데이터를 주도적으로 활용해 원하는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마이데이터 범위가 확대된다.
의료·통신 분야 마이데이터 시행…국민 데이터 활용 확대
1. 마이데이터 확대 적용
- 의료·통신 분야 3월 13일부터 시행
- 내년 6월 에너지 분야 추가 예정
- 기존 금융(2022년 1월 시행)에서 산업 전 분야로 확대
2. 마이데이터 제도 개요
- 국민이 본인 데이터를 직접 전송받거나 제3자에게 전송 요청 가능
- 의료: 예방접종·건강검진 정보 활용
- 통신: 고객정보·가입정보·이용정보 활용
3. 기대 효과
- 국민이 개인정보를 직접 관리·활용 가능
- 데이터 융합 활성화 → 데이터 경제 혁신
- 기업 간 칸막이 해소 → 데이터 유통 생태계 강화
4. 향후 계획
- 10대 중점 분야(교통·교육·고용·부동산·복지·유통 등) 단계적 확대
- '범정부 마이데이터 지원 플랫폼' 오픈(상반기 예정)
- 전송요구 내역 확인, 철회 가능
- 3월 18일 제도 설명회 개최
'Daily IT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17일]음성EMR 부각, 웨이퍼절단 1000조분의 1초 경쟁, AI 활용->바이브코딩 (0) | 2025.03.17 |
---|---|
[3월14일]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민간투자형SW사업 추진 가이드,딥마인드의 로보틱스 SW (0) | 2025.03.14 |
[3월 12일]AI 음성복제 시대 활짝, 12대국가전략기술 확보 시동 (0) | 2025.03.13 |
[3월11일]NIA양자클러스터 기본계획 마련 착수,RaaS(서비스형랜섬웨어)공격 진화 중 (0) | 2025.03.11 |
[3월10일]가트너 AI야망 기회 레이더프레임워크 정의, 뇌세포 동작! 바이오컴퓨터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