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을 '검색' 하시면 원문 기사 확인이 가능 합니다.
2025년 2월 4일(화) 주요 IT 뉴스
경기도, AI 접목한 ESS 6개소 설치 본격화…공공기관 전력 효율화
에너지저장장치(ESS)는 에너지가 남는 시간에 전기를 저장하고 부족한 시간에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이번에 설치되는 ESS는 전력 사용 패턴 등을 분석하는 AI 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을 함께 적용해 피크전력을 줄이고 화재 이상 사전 탐지 및 예측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한다
경기도, AI 기반 ESS 설치 사업 추진
- 설치 대상: 고양·안산·시흥·의왕·광주시 공공청사 및 체육문화센터 6개소
- 사업 목적: 공공기관 전력 효율화 및 에너지 관리 안정성 향상
- 기술 적용:
- AI 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EMS) 활용
- 전력 사용 패턴 분석, 피크전력 저감
- 화재 이상 사전 탐지 및 예측 유지보수 가능
- 사업 규모: 총 13억4000만원(도비 4억5000만원 포함), 2월부터 설치 시작
- 추진 계획: 공공기관 효과 분석 후 민관 협력 ‘공유형 ESS’ 모델로 확대
- 기대 효과: 전력수급 안정화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정책 실현
닻 올리는 국가AI컴퓨팅센터, 업계부터 지자체까지 관심 고조
정부가 민관 합작으로 최대 2조원 규모 '국가 인공지능(AI)컴퓨팅 센터' 구축에 나서는 가운데 사업에 참여하려는 지방자치단체, 산업계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정부, 2조원 규모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추진
- 사업 개요:
- 국가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구축, 2027년까지 2조5000억원 투입
- 정부·민간 합작 SPC 설립, 정책금융 저리대출 활용
- 1엑사플롭스(EF)급 AI 컴퓨팅 센터 목표 (광주 AI센터 대비 9배 규모)
- 사업 참여:
- 지자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기대 (대구, 포항 등 유치 경쟁)
- 기업: AI 데이터센터 운영 경험 확보 및 글로벌 진출 기회
- 클라우드·통신사 컨소시엄 필수, 해외 기업 참여 가능
- 정부 계획:
- 9월 최종 사업자 선정, 연내 일부 서비스 개시
- 비수도권 우선 설립 추진 (전력난 해소 및 균형발전 고려)
- 우려 사항:
- GPU 수요 변화 가능성 고려 필요
- 중장기적 안정적 수요 정책 병행해야 지속 가능
DPG 허브, 멀티 클라우드 구축에 국가망보안체계 적용 검토
디지털플랫폼정부(DPG) 구현을 위한 핵심 인프라 'DPG 허브'가 국내 대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인 KT클라우드와 네이버클라우드의 멀티 클라우드로 구축을 확정하고, 국가정보원 국가망보안체계(N2SF)를 적용할 전망이다
'DPG 허브' KT·네이버 멀티 클라우드로 구축 확정
- 사업 개요:
- 디지털플랫폼정부(DPG) 핵심 인프라 구축
- KT클라우드·네이버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 적용
- 2024년 상반기 구축 완료 목표
- 보안 강화:
- 국정원 국가망보안체계(N2SF) 적용 검토
- 기밀(C)·민감(S)·공개(O) 등급별 차등 보안 적용
- 방화벽, 침입 탐지·시스템(IDS·IPS), CC 인증 제품 활용
- 기대 효과:
- 부처 간 데이터·서비스 연계 강화
- 공공·민간 협업 지원, 디지털플랫폼정부 혁신 가속화
- 시스템 안정성 및 보안성 대폭 향상
'Daily IT 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5일]AI 플랫폼 사업 대기업 참여가능,애플 스위프트빌드 오픈소스공개,레인보우 로봇개 (0) | 2025.02.05 |
---|---|
[2월3일]첨단재생의료 지원 법률, 말만 무성했던 STO, 구글 CSAP인증 취득 (0) | 2025.02.03 |
[1월31일]美·中 AI 고래싸움 심화…韓!?, 딥시크 이어 알리바바도 큐원 출시 (0) | 2025.01.31 |
[1월29일]中 딥시크 AI '충격파', 딥시크 모델 종류,딥시크 오픈AI 기술 도용 (0) | 2025.01.30 |
[1월24일]美 AI데이터센터! 스타게이트 구축, 오픈AI! AI에이전트 오퍼레이터 공개 (0) | 2025.01.24 |